WHY 대구낚시엑스포? | 900만 낚시인 시대!!! 그러나 이러한 호재에도 불구하고 불합리한 낚시금지구역을 설정하여 낚시인들의 자유로운 활동을 가로막고 있습니다. 특히 2021년에 신규로 지정이 된 낚시금지구역은 17개소로, 24개소가 지정이 된 2011년과 2012년, 20개소가 지정이 된 2014년에 이어 가장 많은 낚시금지구역이 설정이 되었던 한 해가 되기도 했습니다. 낚시금지구역 설정 이유는 환경보전과 어족자원 보호, 농업용수 수질보호 등을 내세우고 있지만 정작 낚시인들의 활동이 어떤 피해를 주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답변을 받지 못한 것이 사실입니다. 더욱이 경기도 평택시 평택호와 충청남도 서산시의 잠홍지 사례에서 보듯, 낚시금지구역 설정 이후 오히려 수변구역 개발 및 유원지화를 추진하는 등 모습을 보이면서 과연 낚시금지구역 설정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의문입니다. 물론 과거 낚시인들이 저수지 및 낚시터 주변에 무단 쓰레기투기, 장박꾼 문제 등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을 유발시킨다는 지적을 받아오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현재, 자발적인 쓰레기치우기, 수자원 보호를 위한 환경정화활동, 어자원 보호를 위한 치어방류사업 등을 이행하면서 낚시인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이 많이 바뀌어 왔습니다. |
---|---|
전시개요 |
|
전시품목 |
![]() 다이나믹 낚시 (Dynamic Fishing) 바다 : 낚시대(로드), 낚시줄, 릴, 전동릴, 낚시바늘, 묶음추, 낚시미끼, 바다찌, 받침대, 방울 등 루어 : 에기, 웜, 미노우, 스피 용품 : 장갑, 구명조끼, 가방, 아이스박스, 케미, 태클박스, 집게, 선글라스, 모자, 라인커터 등 ![]() 힐링 낚시 (Healing Fishing) 민물 : 낚시대, 받침틀, 좌대, 낚시의자, 봉돌, 전자케미, 찌 등 소품 : 찌케이스, 찌통, 살림망, 파라솔, 텐트, 뒤꽂이, 꺾기, 떡밥 등 기타 : 낚시의류, 웨이더, 장화, 자외선 차단크림, 선가드, 넥워머 등 |